date_range 2021.07.01
remove_red_eye 754
출처 : https://www.ebsi.co.kr/ebs/ent/enta/retrieveEntNewsView.ebs
-원점수, 실제 대학에서는 반영하지 않아
-표준점수, 어려울수록 높아져
-백분위, 상대적 위치 확인하는 수치
-등급, 표준점수 비율 따라 나뉘어져
![]() *사진 제공=전남교육청
6월 30일에 6월 모평 성적표가 배부된다. 22학번이 되는 기쁨을 누리기 위해서는 누구보다도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그렇기에 성적표 상에서 아직도 헷갈리는 용어가 있다면, 그 의미와 쓰임새에 대해 꼭 알고 넘어가야 한다. 성적표 용어에 대해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자.
원점수, 실제 대학에서는 반영하지 않아
모의고사 성적표에는 학생의 원점수,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응시자 수 등이 표기된다. 원점수는 말 그대로 문항에 부여된 배점을 단순 합산한 점수이다. 그러므로 원점수는 학생이 가채점을 할 때 주로 활용될 뿐 실제 대학에서는 원점수를 반영하지는 않는다.
표준점수와 백분위 그리고 등급은 대학에서 고려하는 점수들이다. 대학에 따라 정시전형에서 백분위만 반영하는 경우도 있고 표준점수와 백분위를 동시에 평가하는 경우도 있다. 등급은 주로 수시전형의 최저학력기준으로 활용된다.
표준점수, 어려울수록 높아져
표준점수는 과목별 응시자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고려해 산출된 점수로 과목별 시험의 난이도를 확인할 수 있다. 보통 어려운 시험을 잘 치를수록 표준점수가 높아지며, 같은 원점수 만점을 받았더라도 시험의 난이도에 따라 표준점수의 차이가 나게 된다.
가령 국어영역의 ‘언어와 매체’가 시험 난이도가 높아 ‘화법과 작문’보다 표준점수가 높게 나올 것으로 예상이 된다면, 실제 수능 시험에서는 보다 높은 표준점수를 얻기 위해 ‘언어와 매체’를 선택하는 학생의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백분위, 상대적 위치 확인하는 수치
백분위는 전국에서 자신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의 수를 100분위 비율로 나타낸 수치이다. 따라서 전국 응시자 중에 자신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진학 학생의 모의평가 국어영역 백분위가 87점이라면 김진학 학생보다 국어 원점수가 낮은 학생의 비율이 87%라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수험생을 100명이라 가정한다면 김진학 학생은 이 중에서 13등 정도라는 것이다.
등급, 표준점수 비율 따라 나뉜다
표준점수의 비율에 따라 9개로 구분되는 등급 점수는 9개 구간으로 나뉜다. 등급은 주로 수시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으로 활용된다.
만일 수능 최저를 설정하고 있는 대학에 지원하는 경우라면 해당 대학이 요구하는 수능 최저 충족의 가능성을 등급의 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첨부파일
이전글 | [학종으로 역전하기] 성적 따라 유리한 ‘상’이 따로 있다! ‘똑똑한 수상경력 선택법’ | ||
다음글 | [2021 등급컷] 199개 대학 공개 |